
회사 홈페이지를 다국어로 퍼블리싱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서 Spring을 이용한 다국어 페이지 만드는 방법을 여러가지 검색을 해보면서 구현을 해봤다. 나는 메세지 번들까지는 사용하지 않았다. 새로운 것을 적용하는데 오래 걸릴 것 같다는 불안감 때문에 JSTL로 분기를 나눠 JSP에서 화면상에 언어를 다르게 표현만 해주는 것으로 그쳤다. 거기까지만 했지만 알게 된 정보들이 있어 공유하려고 한다. 1. Locale을 이용해야 한다. Locale은 사용자의 언어, 국가 뿐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사항을 저장하는 매개 변수의 모임이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C%BC%80%EC%9D%BC - Locale을 이용해서 서버에 ..

border는 div,table,p 등등 여러 태그들에 테투리를 표시하는 속성이다. border 속성은 아래와 같다. 1. border 태그의 동서남북 4면에 테두리를 표시한다. border: width style color; 로 사용한다. (예시: border:1px solid black) 속성 설명) - width 속성값 설명 medium 2px 굵기로 표시, 기본설정값 thin 1px 굵기로 표시 thick 5px 굵기로 표시 length 입력된 수치로 굵기를 표시(cm, mm, in, px, pt, pc 단위로 입력) initial 기본설정값으로 굵기를 표시(medium) - style 속성값 설명 none 기본값, 테두리 표시 안함. hidden none과 같음 dotted 점 선으로 테두리 표..
어릴적 내 주변에는 "자기개발서를 왜 읽어? 별로 도움도 안 되는데?" 라고 말하는 친구들이 많았다. 그들은 자기개발서 없이도 현재 생활의 불만이 없고 인간관계가 원할하던 것이 이유였을지 모른다. 하지만 나는 대인관계의 기술이 부족하여 주변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소심한 성격 탓에 자기 개발서를 읽을 때마다 자기 위안을 삼았던 것 같다. 그렇다고 꾸준히 읽어서 본문 내용을 완벽히 내것으로 만들지는 못했다. 최근에 회사생활을 시작하면서 대인관계는 필수불가결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어 아버지의 방을 둘러보던 중에 이책을 발견하게 됐다. 이 책은 자신감을 회복시키기 위해 읽게된 자기개발서이다. 대인관계도 자신감이 있어야 더 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책이 더 눈에 들어왔던 것 같다. 제목부터 독자의 마음을..

최근 회사를 다니면서 홈페이지 리뉴얼을 진행하게 되어 퍼블리싱에 대해 배워가고 있다. 공유하면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적어보려고 한다. 1. 반응형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 홈페이지들은 변화하는 브라우저의 해상도에 맞게 화면의 내용이 바뀌게 된다. 학원에서는 반응형이 마냥 어려운 것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막상해보니 그렇지는 않았다. CSS에는 @media라는 어노테이션이 있는데 device의 width, height 혹은 viewport의 width, height를 체크하여 지정된 해상도와 맞을 경우 @media {} 안에 있는 css를 적용시킨다. @media type은 아래와 같다. Value Description all 기본설정값, 모든 device에 적용 print 프린터에만 적용 scr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