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unit으로 TDD를 실천하면서 어떻게 코드를 테스트 해야하는지 감이 잡혀온다. 알게 된 점은 아래와 같다. 1. 테스트 코드 작성법 2. 고민되는 부분 3. MockMvc의 사용법 4. Assert 사용법 1. 테스트 코드 작성법 처음에 접근할 때는 로컬 디비에 있는 데이터를 테스트하겠다는 의도로 접근했다. 하지만 디비에 있는 값을 CRUD하는 서비스의 테스트 코드를 작성했을 때, 값 검증을 위해 하드코딩된 값을 넣어야 했는데 이 때, 어떤 데이터가 나올 지 몰라 예상 데이터를 하드코딩할 수 없었다. 테스트 코드 작성 시에는 테스트 하려는 로직을 위해 디비에 데이터를 셋팅해 주어야 한다. 이 것은 2가지 방법이 있는데, @Before로 지정된 메소드 안에 구현하는 방법과 @Test 메소드의 로직 상단..

자바에서 클래스를 쉽게 정의하다가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를 정의하자니 뭐가 뭔지 몰랐었다. 지금 이 글을 쓰는 시점에도 많은 것을 알지는 못하나 내가 아는 것을 서술하고 싶었다. 내가 알고 있는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은 2가지이다. 1. 객체 literal 2. prototype 3. function 정의 1. 객체 literal 정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var obj = { a : 111; b : 222; c : function (){ console.log("hihi"); } }; console.log(obj.a); //111 console.log(obj.b); //222 console.log(obj.c()); //"hihi" 객체 literal을 정의하면 new 키워드를 이용하여 객체를 생성할 수 ..

Git이란? - 개발 산출물을 관리해주는 형상관리시스템 - 중앙 집중형 버전 관리 시스템인 Subversion(SVN)과는 다르게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며 version database가 Git 서버와 로컬 서버 양 쪽에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버 database의 문제가 생길시에 local database를 이용해서 복원시킬 수 있다. Git의 특징 세가지의 상태를 가진다. 1. Staged : git의 최신버전과 내용이 달라진 파일들이 위치하는 영역 2. Modified : 수정된 파일 Staged와 Modified의 차이는 둘 다 수정된 파일이지만 git add "파일명"의 명령어를 입력해야 Modified 상태의 파일이 Staged 영역으로 진입한다. 3. Commited : Staged에 위치..

나는 자바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을 배웠다. 그렇기에 캡슐화에 대한 공부를 하였고, 프론트엔드 단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객체를 만들고자 했을 때 자바스크립트는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알게 되어 그 부분을 공유하려고 한다. 이번에 기재할 내용은 함수 function()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function()을 어떤식으로 취급하는 지 알아보자. 1. 기명 함수표현식 2. 익명 함수표현식 3. 콜백함수 4. 즉시실행함수 1. 기명 함수표현식(Named function expression)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유사하지만 다른 게 있다. 바로 function()은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로 취급이 가능하다. 때문에 함수의 매개변수로 함수를 입력할 수 있다. (1) 일반적인 함수 선언 f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