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다른사람과의 교류하는 것을 생각하면 꺼려지는 부분이 있었고, 상당부분이 대화에 집중됐다. 학창시절에는 재밌는 친구들이 인기가 많았고 그들의 입담에서는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이 있었다. 그것이 부러워 따라하다 보면 똑같진 않았지만 이전 보다는 다른 사람들과 섞여서 대화를 조금이나마 부담없이 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모든 것이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듯이 어느순간 사람들과의 관계가 소원해지는 경우가 생겨났다. 재밌는 말을 하려다 보니 소재가 떨어지면 남의 이야기를 한 두마디씩 하게 됐으며, 대화의 주체가 되는 경우에 다른사람의 다른의견이나 반박등에 공격적인 언행을 사용했던 것이 화근이었다. 더욱이 내 의견을 다른 사람들 앞에서 말하지 못하면 답답해 하는 경향이 있었기에 속에 있는 말을 있는 대로 말하다..
이번에 새롭게 투입된 프로젝트에서는 lombok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다. 처음에는 이것의 존재를 모르고 있었는데, Github에서 프로젝트를 Cloning하고 Maven 업데이트를 했는데 프로젝트에 에러가 사라지지 않는 것이었다. 그래서 부장님께 여쭤보니 Lombok이라는 라이브러리를 Spring.ini에 등록을 해야 된다고 하셨다. * Lombok은 무엇인가?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getter, setter 메소드등을 만들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출처: https://projectlombok.org/features/GetterSetter - Lombok을 적용한 코드 import lombok.AccessLevel;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
회사 홈페이지를 다국어로 퍼블리싱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서 Spring을 이용한 다국어 페이지 만드는 방법을 여러가지 검색을 해보면서 구현을 해봤다. 나는 메세지 번들까지는 사용하지 않았다. 새로운 것을 적용하는데 오래 걸릴 것 같다는 불안감 때문에 JSTL로 분기를 나눠 JSP에서 화면상에 언어를 다르게 표현만 해주는 것으로 그쳤다. 거기까지만 했지만 알게 된 정보들이 있어 공유하려고 한다. 1. Locale을 이용해야 한다. Locale은 사용자의 언어, 국가 뿐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사항을 저장하는 매개 변수의 모임이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C%BC%80%EC%9D%BC - Locale을 이용해서 서버에 ..
border는 div,table,p 등등 여러 태그들에 테투리를 표시하는 속성이다. border 속성은 아래와 같다. 1. border 태그의 동서남북 4면에 테두리를 표시한다. border: width style color; 로 사용한다. (예시: border:1px solid black) 속성 설명) - width 속성값 설명 medium 2px 굵기로 표시, 기본설정값 thin 1px 굵기로 표시 thick 5px 굵기로 표시 length 입력된 수치로 굵기를 표시(cm, mm, in, px, pt, pc 단위로 입력) initial 기본설정값으로 굵기를 표시(medium) - style 속성값 설명 none 기본값, 테두리 표시 안함. hidden none과 같음 dotted 점 선으로 테두리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