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기타(Naver guitar)란? 네이버에서 만든 UI 자동화 테스트 framework이다. 최근 업데이트 버전에서는 selenium 2.0을 지원한다고 한다. guitar가 selenium과 다른 점이라면 guitar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자동화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듣기로는 지도 api에서 자동화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공식 페이지 링크: https://github.com/naver/guitar 특징 - 한글을 통해 테스트 코드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독성이 좋고 이해하기 쉽다. - selenium과 같이 태그 접근이 가능하며, 이미지를 이용하여 자동화 테스트를 진행할 수도 있다. - IE, Firefox, Chrome, Safari 등의 브라우저에서 테스트가..
JUnit이란? TDD 방법론에 의해 자바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서바 사이드 테스트 도구이다. JUnit은 단정문(테스트의 성공과 실패를 판별하는 문장)인 assert 메소드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며 예상되는 결과와 실제 결과를 손쉽게 비교하여 코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JUnit을 통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놓으면 자동화 테스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테스트하는 번거로운 상황을 피할 수 있으면, 테스트 코드가 테스트 이력이 남는 하나의 문서가 되기 때문에 테스트 케이스를 따로 만들 필요가 없다. JUnit의 특징 - 단위 테스트 Framework 중 하나 - 단정문으로 테스트 케이스의 수행 결과를 판별함.(assertEquals(예상 값, 실제 값)) ..
아파치 POI는 서버에 엑셀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해 사용해봤다. 위키백과의 설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다. 아파치 POI(Apache POI)는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만든 라이브러리로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파일 포맷을 순수 자바 언어로서 읽고 쓰는 기능을 제공한다. 주로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와 파일을 지원하며 최근의 오피스 포맷인 Office Open XML File Formats [1] (OOXML, 즉 xml 기반의 *.docx, *.xlsx, *.pptx 등) 이나 아웃룩, 비지오, 퍼블리셔 등으로 지원 파일 포맷을 늘려가고 있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D%8C%8C%EC%B9%98_POI Maven pom.xml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
TDD는 Test Driven Development의 약자로써, 테스트 주도 개발을 의미이며 XP(eXtreme Programming)라는 애자일 기반의 개발 방법론이다. 전통적인 개발 프로세스의 경우 설계-> 코드 작성-> 테스트의 순서를 가진다. 하지만 TDD의 경우 테스트가 핵심이다. 전통적인 개발 프로세스와는 달리 설계 -> 테스트 -> 코드 작성의 순으로 진행이 되며 테스트 코드는 최소한의 코드만을 작성하여 진행하면서 고도화를 시킨다. 전통적인 개발 프로세스의 경우는 아래와 같다. 개발 절차대로 개발을 진행하면 단점은 아래와 같다. 1. 고객이 개발자에게 요구사항을 전달할 때 추상적인 요구사항이 포함되면 개발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잘못 이해할 수 있고, 그 결과 산출물이 고객의 요구사항과 달라질 ..